밀크씨슬 고르는 법 및 제품 비교(생로병사의 비밀)
※참고 논문※
- Advances in the Use of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2007)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ilymarin
treatment in patients with cirrhosis of the liver (1989)
- A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 pilot study of milk thistle for the treatment of hepatotoxicity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2010)
(*제품 비교 결과 및 추천 제품은 하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간은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라고 불릴 만큼 여러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간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것인데 독성물질은 심리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성됩니다. 제일 흔한 요인이 스트레스, 음주 및 흡연이고 그 외 배기가스, 대기오염, 농약이 들어있는 식품이나 합성첨가물이 들어있는 식품 섭취 등 많습니다.
이렇게 늘어만 가는 독성물질을 간이 모두 해독하기에는 무리가 오게 되고 결국 간세포가 파괴되면서 기능이 악화되면
간염, 지방간, 간경변 간암 등 직접적인 간 질환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그래서 간 기능을 위해 밀크씨슬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데 밀크씨슬은 기능이 악화된 간에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1. 간세포 외부 막을 튼튼하게 만들어 '간을 보호'
2. 단백질 활성을 증가시켜 손상된
'간 세포 재생'
3. 간에서 해독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하는 글루타치온 성분을 증가시켜 '간 기능을 회복'
4. 알코올 분해 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유독성물질)를 빠르게 분해하여 '간
기능 도움'
5.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류코트리엔이라는 화학매개물질 생성을 억제해 '간 건강을 유지'
위와 같은 역할들로 인해 식약처에서도 간건강에 관한 기능성을 인정했고 현재까지 간건강에 관한 기능성을 받은 건강기능식품은
밀크씨슬 추출물(실리마린)뿐입니다.
*실리마린은 밀크씨슬 씨앗에 포함된 성분으로
실리빈A, 실리빈B, 이소실리빈A, 이소실리빈B, 실리크리스틴, 실리디아닌
등 6가지 성분을 통칭하며 통상적으로
밀크씨슬과 실리마린은 같은 의미로 불립니다.
직접적인 효능을 볼 수 있는 연구 논문을 몇가지 보겠습니다.
(출처: Journal of
Hepatology. 1989. 9(1): 105-113)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 170여명을 대상으로 실리마린 투여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투여하지
않은 그룹의 생존율은 39%에 불과한 반면 41개월간 실리마린을
투여한 그룹의 생존율은 무려 58%에 달했다.
(출처: Cancer. 2010.
116(2): 506-513)
간에 염증이 있는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밀크씨슬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간 수치(ALT 및 AST)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출처: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5. 11(38): 6018–6021)
간 기능이 떨어진 성인에게 밀크씨슬을 섭취하게
한 결과, 간 기능의 주요 지표인 ALT, AST 수치가
의미있게 개선됐다.
또한 독버섯 중독 시 해독 능력에 대한 연구 결과, 일반 치료제를
이용한 그룹은 18.3%가 사망했고 밀크씨슬을 섭취한 그룹은 9.8%만
사망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이처럼 밀크씨슬이 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알려지면서 시중에도 수많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지만 농약이나 화학첨가물을
잔뜩 쓴 것이 수두룩한데 싼 제품은 대부분 이런 식이니 가격만 보고 사면 안되고 잘 비교하고 골라야 합니다.
밀크씨슬을 고를 땐 다음 네 가지를 보면 됩니다.
첫째. 유기농 인증
둘째. 실리마린 함량
셋째. 無화학첨가물
넷째. 유기농 비타민B12, 유기농 셀렌 함유
<첫째. 유기농 인증>
유기농이란 잘 알려져 있듯이 농약과 화학비료 등을 전혀 쓰지 않은 것을 뜻하는데 농약의 위험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건강한 성인이라도 농약 성분이 몸 안에 들어오면 지속적으로 쌓일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수많은 부작용 및 악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당연하게도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몇가지 살펴보면
(출처: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4. 159(4): 373-380)
미국 농약제조업체 근로자 약 2만6천여명을 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악성 종양 진단 건수가 1,466건 발견됐고 가장 높은 농약 노출 범위에 있는 근로자들은 백혈병
위험이 2.83배, 다발성 골수종 위험은 5.66배나 높았다.
(출처: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4. 96(23): 1781-1789)
특정 농약에 가장 오래 노출된 근로자들은 폐암 위험이 2.18배나 높았다.
(출처: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6. 163(8): 731-742)
생리, 임신, 출산 등을 겪는 여성은 농약을 비롯한 화학물질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데,
실제로 미국 아이오와 및 노스캐롤라이나의 여성을 대상으로 농약의 영향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농약에 노출된 62%의 여성은 갱년기 기간이 약 3개월에서
5개월 지연되었고 갑상선 질환, 협심증, 생리주기 변화 등의 위험이 증가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농약은 세척만 하면 괜찮다고 안일하게 생각하지만 절대 아닙니다.
실제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농약은 일반 수돗물뿐만 아니라 세척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숯담근물, 식초물, 소금물 등으로 씻어내더라도 20% 이상이 잔류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잔류농약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사망률과 암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실제
국내 농약에 의한 사망자가 연간 3천명에 달한다는 통계를 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또한 임산부에게는 훨씬 치명적인데 불임과 자폐아 출산율이 무려 60%나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밀크씨슬은 잡초를 방제한다는 명목으로 다량의 농약과 제초제가 사용되며, 원료가
되는 특정 성분을 고농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잔류 농약에 노출될 위험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실제로 밀크씨슬의
경우 농약에 의한 부작용과 피해가 유독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반드시 유기농 밀크씨슬로 구매해야 합니다.
유기농 식품은 안전하고 항산화 능력도 높은데다가 체내에 쌓인 잔류 농약 해독에도 도움을 주는데 관련 논문 몇가지만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Environ Health
Perspect. 2006)
유기농 과일과 채소로 이루어진 식단을 한 결과 살충제 성분인 말라티온, 클로르피리포스
수치가 감소했을뿐만 아니라 독성 화학물질을 정화시키는 간의 기능성도 향상되었다.
(출처: State of
Science Review: Nutritional Superiority of Organic Foods. 2008)
일반농산물에 비해 유기농산물의 항산화능력이 최대 75%가랑 높게 나타났다.
밀크씨슬 같은 영양제까지 유기농을 먹어야 하는지 의아할 수 있지만 유기농 인증은 단순히 농약만 쓰지 않은 제품에
부여하는 것이 아닙니다. 국내에서 유기가공식품 인증을 받으려면 당연히 유기농 원료를 사용해야 하고 유전자
재조합(GMO)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원료부터 제조, 포장, 위생 등 모든 과정을 복잡하고 까다롭게
검증 받아야 합니다. 즉, 유기가공식품 인증을 받은 밀크씨슬
제품이라면 앞서 언급한 기준에 모두 충족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결과적으로 농약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유기농 제품을 골라야 하는데 제품의 원재료 및 함량 부분에 ‘유기농밀크씨슬추출물’이라고 표기되어 있거나 제품 박스에 유기가공식품인증
마크를 확인하면 됩니다.
<둘째. 실리마린 함량>
앞서 언급했던 대로 실리마린은 통상적으로 밀크씨슬과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 자세히 설명하자면, 엉겅퀴의 일종인 밀크씨슬에서 기능성 성분만을 추출한 것이 바로 실리마린입니다.
즉, 간 건강의 핵심 성분이 바로 이 실리마린이기 때문에 반드시 실리마린의 함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출처: Hepatitis Monthly.
2008. 8(3): 191-195)
실제로 실리마린의 임상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섭취 8주만에 간 기능 지표인 ASL, AST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습니다.
식약처에서 인정하고 있는 실리마린 최소 함량은 하루 130mg으로, 일일 섭취량 기준 130mg 이상인 제품을 골라야 합니다.
<셋째. 無화학첨가물>
시중 대부분의 밀크씨슬 제품에는 인위적으로 맛, 향, 색을 내기 위한 감미료, 착색료,
착향료 등의 합성첨가물이 들어가거나 캡슐, 알약을 만들 때 생산성을 높이고 가루가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화학부형제가 사용됩니다.
영양성분과는 거리가 먼데다가 허용량 내로 첨가한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안전성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또한 화학 성분은 체내에 한 번 들어오면 배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애초에 섭취하지 않도록 평소 식품을 고를
때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캡슐 제품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 화학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는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맹장과 결장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거나 적혈구 감소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산화규소는 미국독극물연구소(NTP)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체 유해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임상의학의를 위한 암 저널(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에는 <이산화규소: 폐 발암물질>을 주제로 한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자료가 있는데 몇 개만 보겠습니다.
(출처: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011. 16(1): 43-48)
실험 쥐의 복강에 이산화규소를 투여한 결과, 간세포 및 근육 손상 지표인 AST 수치가 무려 2배 이상 높아 정상 범위를 벗어났으며 간과 신장 조직에서 독성 작용이 관찰되었다.
(출처: 미국영양학협회. 2000)
미국영양학협회 학술지에 기재된 논문에 따르면 HPMC를 과다하게 섭취한 경우 복부 팽만과 복부 경련, 부글거림
등의 위장질환 증상이 나타났다.
또한 착색료로 상당히 많이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은 건강식품뿐만 아니라 페인트,
종이, 플라스틱의 표백 색소 등으로 쓰이는데 국제암연구소(IRAC)에서 2군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성분이며 프랑스에서는 이산화티타늄의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는 임상 실험 결과를
수렴하여 2020년부터 이산화티타늄을 식품 내 사용 금지 성분으로 지정했습니다.
물론 이 외에도 수많은 화학첨가물이 사용되고 있는데 간혹 3無, 4無라고 표기하며 화학성분을 쓰지 않았다고 광고하는 제품도 있지만 정작 살펴보면 그 3, 4개의 성분을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그대로 쓰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예를 들어 화장품에서 파라벤이 이슈가 되어 '파라벤을 안썼다'고 광고를 하지만 정작 파라벤 대신 같은 역할을 하는 화학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을 쓰는 경우, 이런 광고에 일반 소비자들은 속을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 외에도 길고 어려운 이름을 가진 비슷한 용도의 화학성분이 많으니 안전하게 복용하려면 반드시 상세페이지
및 제품 원재료 표기에 화학성분이 있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넷째. 유기농 비타민B12, 유기농 셀렌 함유>
간건강 기능성을 인정 받은 원료는 밀크씨슬이 유일하지만 이 외에 간에 꼭 필요한 영양소로 손꼽히는 비타민B군과 셀렌(셀레늄) 등을
함께 섭취하면 간건강을 지키는데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각 영양소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비타민B12]
비타민B12는 다른 비타민과 달리 대부분이 간에 저장되는데 바꿔 말하면
간 질환이 생길 경우 비타민B12의 저장 및 흡수를 방해하고 비타민B12가
결핍되면 간 비대증 등의 간 질환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생기게 됩니다.
[셀렌]
셀렌은 대표적인 항산화 영양소로, 이 성분이 부족할 경우 유해산소의
공격으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어 간 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말씀드린 기준을 바탕으로 시중에 판매중인 제품들을 비교해본 결과 유기농이 아니거나 화학첨가물이 들어가 있었고 그나마 🔗닥터린 유기농 밀크씨슬이 기준에 적합했는데 이런 식으로 비교해보시면 어렵지 않게 좋은 제품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간 기능 저하로 관련 제품 찾다가 글 발견해 읽게 되었는데 큰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비교분석정보 감사합니다.
답글삭제혹시 괜찮은 제품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답글삭제안녕하세요. 아무거나 먹으면 안 먹느니만 못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제품 선택해 드시길 바랍니다. 추천 제품 링크도 걸어드릴게요.
삭제https://url.kr/5cfw71
정보 감사합니다~ :)
답글삭제